2023. 12. 28. 21:25ㆍ환경소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식품용 투명 폐페트병(PET)을 재활용해 물리적으로 재생한 원료를 식품용기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23.1.17.)한 이후, 현재까지 식품용 페트병 생산을 위한 물리적 재생원료 총 3,400여톤이 생산됐으며 향후 생산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27일 밝혔다.
생산된 3,400여톤의 재생 원료는 작년 식품용 페트 전체 생산량(재활용하지 않은 신규원료)의 약 1% 수준으로, 5개 식품제조업체가 식품용 페트병 원료로 사용했다. 현재 재생 원료로 페트병 생산을 준비하고 있는 식품제조업체 등에서 시험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내년에는 물리적 재생 원료의 생산량과 이를 사용한 제품 생산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식약처는 그간 폐페트병 등 플라스틱을 재생해 식품용기의 제조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화학적 방법으로 재생한 경우에만 사용을 허용하고 있었으나, 국제적 추세인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 재활용을 확대하고자 환경부와 협력해 물리적 방법으로 재생한 원료까지 식품용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22.12월 시행)했다.
먼저 페트 수거선별에서부터 최종제품 생산까지 재생원료의 품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계별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22년)했다. 이후 작년 8월 한 국내 기업이 재생원료 사용을 최초로 신청했으며, 식품 용기 원료로서의 안전성 등을 엄격히 심사하여 물리적 재생 원료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식품용 재생용기 출시가 가능해졌다.
<물리적 재생페트(PET) 안전관리 체계
또한 올해 5월 환경부, 식품제조업체, 식품용기 재생업체 등과 ‘투명페트병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물리적 재생원료의 생산과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참고로 현재 미국, 유럽연합 등 제외국의 경우 식품용기 제조 시 재생원료 사용을 확대하는 정책이 이미 시행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재생원료(PET) 사용 비중을 3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페트병의 재활용이 보다 활성화되면 자원순환을 촉진해 순환경제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 새로운 플라스틱 사용을 절감해 환경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재생 원료로 제조된 식품용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리적 재생원료의 인정 심사를 보다 철저히 실시하고, 자원순환 촉진과 환경 보호를 위해 물리적 재생원료의 대상 재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린매일 (greenmaeil.co.kr)
한윤석 eco@greenmaeil.co.kr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폐섬유 재활용한 여과필터 개발. 공기질 개선·폐기물 저감 일석이조 효과 기대 (0) | 2024.01.02 |
---|---|
평택시 '청정수소 도입'으로 기업 RE100 지원한다 (0) | 2023.12.28 |
유해폐기물 안전망 강화… 수은폐기물은 적정 처리하고, 의료폐기물은 투명하게 처리 (0) | 2023.12.28 |
김학용 의원, 층간소음 방지 위한 주택법 개정안 국회 통과 (0) | 2023.12.27 |
경기도의회 홍원길 의원,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 지원 법률개정 촉구 건의안' 도의회 통과 (2) | 2023.12.27 |